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사 지방쓰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차례나 제사를 하면서 지방을 쓰게 됩니다.
어릴 때는 어르신들이 작성하는 것이라서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성인이 되고 제사를 챙기는 나이가 되면 작성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작성 방법을 알고 있어도 자주 있는 일이 아니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잊혀지거나 헷갈리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사 지방쓰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사때 사용하는 지방은 제사상의 주인을 뜻하는 것으로 길이는 22cm에 넓이는 6cm의 직사각형으로 만든 후 모서리 부분만 둥글게 오려서 사용한다고 합니다.
보통 한지에 붓글씨로 작성하는 것이지만 요즘에는 컴퓨터로 인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방을 본 적이 있다면 아시겠지만 보통 한자로 작성하는 것이며 여전히 한자로 작성하는 경우도 많지만 요즘에는 편의를 위해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제사 지방쓰는법을 하나씩 알아보자면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분의 이름을 적은 후 관계와 직위 그리고 이름을 기입한 후 끝에 신위를 적는 것입니다.
왼쪽에는 남자를 적고 오른쪽에는 여자를 적는 것이 기본이라고 합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지방을 적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므로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적은 후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고 신위를 적는 것입니다.
아버지는 현고, 어머니는 현비로 작성하며 조부모의 경우 앞에 조를 붙여 현조고, 현조비가 되고 증조부모라면 앞에 증을 더하여 현증조고, 현증조비가 되는 것입니다.
위의 표에 적혀있는 한자를 참고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위의 캡쳐 화면은 조부모에 대한 지방 예시입니다.
고인에게 벼슬이 있었다면 벼슬의 이름을 작성하면 되지만 벼슬을 하지 않은 남자 조성이라면 학생이라고 작성하며 그 부인은 유인을 적게 됩니다.
그러므로 앞서 말한 현조고, 현조비를 작성한 후 학생, 유인을 이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자 조상은 모두 이름 부분에 부군이라고 작성하며 여자 조상은 위에 표시한 것처럼 아내의 본관과 성씨를 작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원리로 밑의 캡쳐 화면은 부모에 대한 지방으로 현고, 현비의 차이와 어머니의 본관과 성씨를 다르게 작성하는 것밖에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제사 지방쓰는법을 알아봤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