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족관계 호칭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가족이나 친척간에 많이 사용하는 호칭은 몇 가지 없습니다.
하지만 유교문화가 오래 지속된 우리나라의 경우 정말 많은 호칭이 있는데요
실제로 그 호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잘 없기도 해서 저도 자세하게는 잘 모르고 지냈던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 호칭을 듣고 아 어떤 관계구나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족관계 호칭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일반적인 호칭이라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할아버지, 할머니,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고조할아버지, 고조할머니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리고 며느리나 사위, 큰 아버지, 큰 어머니, 작은 아버지, 작은 어머니 정도가 될텐데요
위의 표에서 나온 것처럼 형수, 제수, 매형, 매제도 많이 사용하는 호칭이며 해석을 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은근히 헷갈린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 다음 가족관계 호칭은 당숙이 들어간 것입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들어본 호칭이겠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는 것은 쉽지 않은데요
당숙은 아버지의 사촌형제를 말하며 당숙모는 아버지 사촌의 부인을 말하는 것입니다.
재당숙의 경우 아버지의 육촌형제, 재당숙보는 그 육촌의 부인을 말하는 것입니다.
종형제는 아버지의 조카를 말하는 것이며 종수는 아버지의 조카며느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 재종형제는 당숙의 아들, 재종수는 당숙의 며느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당질은 사촌의 아들을 말하며 당질부는 그 사촌 아들의 아내입니다.
당연히 외당질은 외사촌의 아들을 말하는 것이며 외당질부는 외 사촌의 며느리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고모와 이모쪽의 호칭인데요
당고모는 아버지의 사촌누이, 재당고모는 아버지의 육촌누이이며 내종형제는 고모의 아들이나 딸, 대고모는 아버지의 고모를 말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종은 이모의 아들이나 딸, 이종수는 이모의 며느리, 이질, 이질녀는 여자형제의 아들이나 딸을 말합니다.
당연히 이질부는 이질의 아내가 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가족관계 호칭을 알아봤습니다.
더 많은 호칭이 있지만 이정도만 알아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